본문 바로가기
정보와 라이프

건강보험 피부양자란 무엇일까요? 쉽고 간단하게 알려드립니다.

by 보리건빵한개 2024. 11. 19.

300x250

피부양자는 다른 사람의 소득으로 생활하며, 건강보험 혜택을 받는 사람을 말합니다. 쉽게 말해, 직장에 다니는 사람의 가족 중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피부양자가 되어 건강보험료를 내지 않고도 병원에 갈 수 있는 것이죠. 일반적으로 피부양자가 될 수 있는 사람은 다음과 같습니다.

 

 

<목차>

피부양자 부양요건
피부양자가 되면 어떤 혜택을 받을까요?
피부양자가 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자격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피부양자 자격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피부양자 자격 인정기준: 소득요건, 재산요건

 

 

 피부양자 부양요건 

  • 직장가입자의 배우자: 배우자는 대부분 피부양자 자격이 주어집니다.
  • 직계존속: 부모님, 조부모님 등 직계 상위 가족
  • 직계비속: 자녀, 손자녀 등 직계 하위 가족
  • 형제자매: 일정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 배우자의 직계존속 및 비속: 배우자의 부모님, 배우자의 자녀 등

 

 피부양자가 되면 어떤 혜택을 받을까요? 

피부양자가 되면 가장 큰 혜택은 바로 건강보험료를 내지 않고도 건강보험 혜택을 누릴 수 있다는 점입니다.

 

피부양자의 주요 혜택

건강보험료 납부 면제: 직장에 다니는 가족의 건강보험에 포함되어 별도로 보험료를 낼 필요가 없습니다.

건강보험 모든 혜택 적용: 병원 진료, 입원, 수술 등 건강보험에서 제공하는 모든 의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건강검진: 일반 건강검진, 암 검진 등 국가에서 제공하는 건강검진을 무료 또는 저렴한 비용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좀 더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으시다면..

병원 진료 시: 진료비의 일정 부분만 본인이 부담하고, 나머지는 건강보험에서 지원받습니다.

약 처방 시: 처방받은 약을 건강보험 약국에서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습니다.

입원 시: 입원비, 수술비 등의 의료비를 건강보험에서 지원받습니다.

즉, 피부양자가 되면 건강에 대한 부담 없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습니다.

 

*주의: 피부양자 자격은 소득이나 재산 등의 조건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며, 혜택 내용도 변경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정보는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문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피부양자가 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자격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주요 자격 요건:

소득 기준: 일정 소득 이하이어야 합니다.

  • 일반적으로 직장가입자의 소득으로 생계를 유지하는 가족 구성원이어야 하며, 본인의 소득이 일정 수준을 넘지 않아야 합니다.
  • 정확한 소득 기준은 매년 변경될 수 있으므로,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문의하여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재산 기준: 일정 재산 이하이어야 합니다.

  • 부동산, 금융 자산 등을 포함한 총재산이 일정 기준을 넘지 않아야 합니다.

부양 관계: 직장가입자와의 부양 관계가 인정되어야 합니다.

  • 배우자, 직계존속(부모, 조부모 등), 직계비속(자녀, 손자녀 등) 등이 일반적인 대상입니다.
  • 형제자매의 경우에도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피부양자가 될 수 있습니다.

 

*자격 요건은 매년 변경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정보는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문의하여 확인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피부양자 자격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 정기적으로 소득과 재산 변동 사항을 신고해야 합니다.
  •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발송하는 안내문을 잘 확인해야 합니다.

 피부양자 자격 인정기준: 소득요건, 재산요건 

소득요건 1 .사업자등록자로 사업소득이 없는 경우
2. 사업자등록이 없고 사업소득이 연간 500만원 이하
3. 모든 소득(사업·금융·연금·근로기타소득 등)을 합하여 연간 2천만원 이하

*피부양자가 기혼자인 경우에는 부부 모두 소득요건을 충족해야 함
*주택임대소득자의 경우 사업자등록유무에 관계없이 소득이 있는 경우 제외
*장애인, 국가유공‧보훈보상대상 상이자는 사업자등록 유무와 관계없이 연간 소득 500만원 이하
재산요건  1. 재산과표가 5.4억원 이하
2. 재산과표가 5.4억원을 초과하면서 9억원 이하인 경우에는 연간 소득 1천만원 이하
3. 형제자매는 재산과표 1.8억원 이하

*재산의 종류: 토지, 건축물, 주택, 선박, 항공기
부양요건 1. 직장가입자의 배우자
2. 직장가입자의 직계존속(배우자의 직계존속 포함)
3. 직장가입자의 직계비속(배우자의 직계비속 포함)과 그 배우자
4. ·재산요건을 충족하는 형제·자매 중 미혼으로 65세 이상, 30세 미만, 장애인, 국가유공·보훈보상대상자 상이자 등

* 동거/비동거 시 기준 상이함

 

 

300x250